'트럼프 관세 무효' 판결, 미국 경제에 드리운 그림자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둘러싼 법원 판결이 미국 경제에 새로운 불확실성을 더하고 있습니다. 최근 항소심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부과가 '불법'이라는 판결이 나오면서, 미국 수입업체들은 혼란에 빠졌고, 경제 전반에 걸쳐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습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 연방항소법원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을 관세 부과의 근거로 적용한 것은 위법이라고 판결했습니다. 이 판결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임 기간 동안 시행된 관세 정책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무역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번 판결로 인해 관세 비용이 불확실해지면서 기업들은 투자 결정을 보류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캐피털이코노믹스의 제니퍼 맥키언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관세 관련 불확실성이 최소 10월 중순까지 이어질 것이며, 트럼프 측이 대법원에 상고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는 기업들이 장기간 동안 불확실성에 직면하게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번 판결에 대해 반발하며 무역 협상을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는 과거 교역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속도를 중시하며, 대미 투자를 통해 미국의 제조업 부흥을 이끌 것이라고 강조해왔습니다. 하지만, 관세 정책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기업들의 투자 결정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ING의 카르스텐 브제스키 글로벌 매크로 책임자는 "미국에서 사업을 하는 기업들은 현재로서는 구조적인 의사 결정을 내리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시장은 무역 관련 소식에 둔감해졌지만, 이번 판결은 다시 불확실성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전미소매연맹(NRF)의 조너선 골드 공급망 및 관세정책 부회장은 "지속적인 불안정성은 경제 성장을 위협하고, 결국 미국 소비자들이 지불해야 할 상품 및 서비스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의 경제 지표 악화는 더욱 우려를 자아냅니다. 8월 제조업 지표가 6개월 연속 위축될 것으로 예상되며, 8월 고용 지표 역시 부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IMD 경영대학원의 사이먼 이베네트 교수는 "일부 기업들이 미국 내 생산 확대를 계획하고 있지만, 이번 소송으로 인해 대미 생산 관련 승인 절차를 2026년 3분기까지 늦출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재정 책임 위원회(CRFB)는 대법원 판결이 확정될 경우,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예상되었던 세수 효과의 71%가 사라질 수 있다고 추산했습니다. 이는 미국의 재정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으며, 트럼프 전 대통령이 관세로 해결하겠다고 약속한 국가 재정 문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번 법원 판결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불확실성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기업들의 투자 위축, 소비 심리 저하, 재정 부담 증가 등 다양한 측면에서 미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으며, 향후 대법원의 최종 결정에 따라 그 파장이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