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임신 중 타이레놀 복용 경고: 자폐증 연관성 논란의 중심
최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임신 중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 복용에 대한 경고를 내놓으면서, 이와 관련된 자폐증 연관성 논란이 다시금 불거졌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22일(현지 시각) 백악관 집무실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타이레놀을 먹는 것은 좋지 않다”며 “임신 중 반드시 필요한 경우, 이를테면 고열이 있을 때만 최소한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며, 관련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촉발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보건복지부 장관은 “가능한 최저 용량을 최단 기간, 꼭 필요한 경우에만 처방해야 한다”고 덧붙이며, 전국적인 공익 캠페인을 통해 타이레놀의 잠재적 위험성을 알릴 계획임을 밝혔습니다. 또한, 식품의약국(FDA)이 곧 의사들에게 타이레놀의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공지를 내리고, 안전성 표시 변경 절차에 착수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우려와는 반대로, 미국 산부인과 협회는 타이레놀이 임신부에게 안전한 몇 안 되는 진통제 중 하나라고 지속적으로 강조해 왔습니다. 협회는 과거 연구들을 근거로,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을 신중하게 사용했을 경우 태아 발달 문제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는 명확한 증거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전문가들은 임신 중 타이레놀 복용과 자폐증 사이의 연관성을 뒷받침할 만한 충분한 근거가 부족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해 미국의학협회지(JAMA)에 발표된 대규모 연구에서도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 사용이 자폐증,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지적장애와는 관련이 없다는 결과가 발표된 바 있습니다. 이 연구는 미국과 스웨덴 연구진이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지원을 받아 스웨덴 아동 250만 명의 건강 기록을 분석한 것으로, 신뢰성을 더했습니다.
더럼대 사회·발달심리학과 모니크 보타 교수는 “인과관계를 시사할 만한 확실한 증거나 설득력 있는 연구는 없다”고 말하며, 임산부를 위한 진통제 선택지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타이레놀이 안전한 선택지 중 하나임을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임신 중 타이레놀 복용과 자폐증 사이의 미약한 연관성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하버드 공중보건대학 연구진은 4주 이상 장기간 사용 시 연관성이 강하게 나타났다고 밝히며, 예방 원칙에 기반을 둔 균형 잡힌 접근을 권고했습니다.
이에 대해 제조사 켄뷰는 “과학은 아세트아미노펜이 자폐를 유발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준다”며 “이 같은 주장은 임산부와 태아에게 불필요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이처럼, 타이레놀과 자폐증의 연관성을 둘러싼 논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며, 임산부들은 의료 전문가와 충분히 상담한 후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