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불편한 고용 통계’에 분노? 국장 경질… 또다시 ‘통계 정치화’ 논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또다시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 이번에는 고용 상황 관련 통계를 발표한 노동부 국장을 경질하면서, ‘통계 정치화’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이러한 행보는 그가 경제 지표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보여주는 단면입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석 달간 고용 상황이 악화되었다는 통계를 발표한 노동부의 에리카 매켄타퍼 국장을 해임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자신의 정치적 입맛에 맞지 않는 통계를 내는 국가기관에 대한 보복이라는 비판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조 바이든이 임명한 에리카 매켄타퍼 노동통계국장이 우리나라 고용 지표를 생산하고 있다는 것을 막 알게 되었다”라고 밝히며, 해당 통계가 부정확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특히, 2024년 3월 일자리 증가 수를 과대평가하고, 대선 직전인 8월과 9월에도 일자리 증가 폭을 과장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러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조치에 대해, 전직 관료들과 정치권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특히, 윌리엄 비치 전 노동통계국장은 “별다른 이유 없이 매켄타퍼를 해고하는 것은 다른 통계의 독립성을 위협하는 위험한 선례가 될 것”이라고 지적하며, 통계의 객관성을 훼손하는 행위라고 비난했습니다.
경제학자들 또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습니다. 마이클 스트레인 전 인구조사국 경제학자는 “정부 공식 통계는 정확하며 정치적으로 기울지 않는다는 믿음이 매우 중요하다”라며, 트럼프 전 대통령의 행위가 이러한 신뢰를 훼손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러한 논란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경제 지표, 특히 고용 상황을 자신의 정책 및 정치적 성공의 척도로 삼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고용 상황이 관세 정책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트럼프 전 대통령은 고용 통계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번 사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경제 정책과 관련된 논쟁을 더욱 격화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할 경우, 경제 지표를 둘러싼 논란은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