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vs G6' 쑥대밭 G7 되나…"기적 없으면 공동성명 불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다가오는 G7 정상회의에 참석하며, 7년 전 그가 G7을 혼란에 빠뜨렸던 기억이 다시 소환되고 있습니다. 당시 트럼프 전 대통령은 G6 국가들과의 관세 문제로 심각한 갈등을 겪었고, 결국 공동성명 발표를 무산시킨 바 있습니다. 이번 복귀에서도 험난한 앞날이 예상됩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7년 전 G7 회의를 '쑥대밭'으로 만들었던 관세 정책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뿐만 아니라, 취임 직후 종전을 공언했던 두 개의 전쟁, 즉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갈등이 고조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캐나다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백악관을 나서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2018년 G7 정상회의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당시 G6 국가들(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일본)과 관세 문제로 격렬하게 대립했습니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이 홀로 앉아 있고 나머지 정상들이 그를 설득하는 듯한 모습의 사진은 당시 상황을 적나라하게 보여줍니다.

2018년 6월 9일 캐나다 퀘벡주 라말베이시 샤를부아에서 열린 G7 정상회담에서 G6 정상들과 관세 등을 놓고 이견을 노출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홀로 의자에 앉은 채 G6 정상들이 심각한 표정으로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하고 있다. 연합뉴스
당시 정상회의를 주최한 캐나다의 트뤼도 총리는 공동성명을 발표하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은 SNS를 통해 이를 '거짓 성명'이라고 비난하며 불만을 드러냈습니다.
이번 G7에서도 '미국 대 G6' 구도가 재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정치 전문 매체는 '외교적 기적이 일어나지 않는 한, 이번에도 공동성명 발표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번 G7에서 새로운 무역 협정이 체결될 수 있다고 언급하며 관세 정책에 대한 의지를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미 전 세계를 대상으로 일방적인 관세를 부과했으며, G6 국가들은 관세 유예 종료 전까지 미국과의 협상을 마무리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등에 대한 추가 관세 인상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미국 메릴랜드주 앤드류스 합동 기지에서 G7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캐나다로 출발하면서 전용기인 에어포스 원으로 걸어가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번 G7에서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충돌 또한 주요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국제 분쟁에서 군사적 역할을 축소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지만, 이스라엘에 대한 지지 여부를 두고 지지층 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어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SNS를 통해 이스라엘과 이란의 협상과 평화를 강조했습니다. 또한, ABC와의 인터뷰에서는 분쟁에 미국이 개입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이번 회담을 통해 주요국들과의 협력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16일(현지시간) 이란의 미사일이 이스라엘 도시 텔아비브 상공에서 이스라엘의 방공 시스템에 의해 격추되고 있다. AFP=연합뉴스

지난 15일(현지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요격망을 돌파한 이란의 미사일이 도심을 타격해 화염을 뿜고 있다. AP=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전쟁은 G7에서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이란 문제를 논의했으며, 우크라이나 문제는 다음 주에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26일부터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중동 상황에 주목하는 배경에는 국제 유가의 급변동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이후 국제 유가가 급등했으며, 이는 물가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물가 정책 지지율은 39%로 나타났으며, 관세에 대한 지지율 역시 40%에 그쳤습니다.

차준홍 기자
트럼프 전 대통령은 G7 회담에 앞서 SNS를 통해 중동 상황의 조속한 해결과 불법 이민자 추방 작전에 동원된 군을 격려하는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 다가오는 G7 정상회의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어떤 행보를 보일지, 그리고 G6 국가들과 어떤 관계를 형성할지,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