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세계 신뢰도 34%… 푸틴·시진핑보다 높지만 여전히 낮은 평가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세계적인 신뢰도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지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및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보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최근 발표된 퓨 리서치 센터의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이 국제 현안에 대해 올바른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신뢰하는 응답은 24개국 평균 34%에 불과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임 기간 동안 보여준 정책 방향과 발언들이 세계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 못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스웨덴(15%)을 비롯한 유럽 국가들과 멕시코(8%), 캐나다(22%) 등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보호무역주의 정책과 이민 정책 등이 해당 국가들과의 갈등을 심화시킨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반면, 이스라엘(69%), 나이지리아(79%), 헝가리(53%), 인도(52%) 등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들 국가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외교 정책과 관련된 긍정적인 면을 평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의 경우, 33%의 신뢰도를 보여 24개국 평균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엇갈리는 한국 내 여론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흥미로운 점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신뢰도가 첫 번째 임기 때보다 소폭 상승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영국에서는 2018년 조사에서 28%만이 트럼프 전 대통령을 신뢰했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37%로 상승했습니다. 프랑스와 독일에서도 신뢰도가 각각 9%에서 22%로, 10%에서 18%로 증가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임 기간 동안 쌓은 인지도와 경험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결과일 수 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46%)보다는 낮은 신뢰도를 보였지만, 시진핑 주석(25%)과 푸틴 대통령(16%)보다는 높은 신뢰도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보여준 강한 리더십과 미국 우선주의 정책이 일부 국가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받은 결과로 풀이됩니다.
이번 조사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주요 이미지는 ‘오만하다’(80%), ‘강한 리더’(67%), ‘위험하다’(65%)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정직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28%에 그쳤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책 결정 방식과 성격에 대한 세계적인 인식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세계 신뢰도에 대한 이번 조사는 향후 그의 정치적 행보와 미국 외교 정책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앞으로 어떤 활동을 펼치고, 세계 각국이 그를 어떻게 평가할지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