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국가 안보를 위한 초강수: 12개국 국민 미국 입국 전면 금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국가 안보를 이유로 이란을 포함한 12개국 국민의 미국 입국을 전면 금지하는 강력한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정책 기조를 다시 한번 강력하게 드러내는 결정입니다.
이번 조치는 9일부터 시행되며,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과 미국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보호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조치는 2017년 처음 시행되었던 입국 금지 행정명령의 연장선상에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입국 금지 대상 국가
이번 입국 금지 조치에 따라 이란, 예멘, 아프가니스탄, 미얀마, 차드, 콩고공화국, 적도기니, 에리트레아, 아이티, 리비아, 소말리아, 수단 등 12개국 국민은 미국 입국이 전면 금지됩니다.
또한, 브룬디, 쿠바, 라오스, 시에라리온, 토고, 투르크메니스탄, 베네수엘라 등 7개국 국민에 대해서는 부분적인 입국 제한이 적용될 예정입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엑스(X, 구 트위터)를 통해 “최근 발생한 콜로라도 유대인 테러 사건과 같이, 제대로 심사받지 않은 외국인의 입국은 미국의 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이번 조치의 정당성을 피력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 도전을 앞두고, 그의 강경한 이민 정책에 대한 지지 기반을 다지려는 의도로도 해석될 수 있습니다. 특히, 국가 안보를 강조함으로써 보수 유권자들의 결집을 유도하려는 전략으로 분석됩니다.
이번 조치가 법적 소송에 직면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과거 입국 금지 행정명령이 법정 다툼으로 이어진 전례가 있기 때문입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2017년 연방대법원이 입국 금지 행정명령의 효력을 인정한 점을 들어, 이번 조치를 막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다고 예상합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이번 결정이 미국 사회에 미칠 파장과, 향후 이민 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트럼프의 이민 정책은 앞으로도 끊임없이 논쟁의 중심에 설 것으로 보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