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의 LNG 운반선 정책 변화, K-조선에 미칠 영향은?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물량을 늘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전 세계 조선 시장의 강자인 우리나라 조선 업계의 셈법이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과연 K-조선은 이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최근 2028년부터 미국산 LNG 수출량의 일정 비율을 미국에서 건조된 LNG 선박으로 운송해야 한다는 인센티브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이 비율은 2028년 1%에서 시작해 2035년 4%, 2047년에는 15%까지 점진적으로 늘어날 예정입니다. 이는 트럼프 정부가 LNG 수출을 확대하는 동시에 자국 조선업을 부흥시키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 정책은 중국 조선업을 견제하려는 목적도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에 입항하는 중국산 선박에 높은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침과 함께 발표된 점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중국산 선박 규제는 국내 조선사에게 긍정적인 소식이지만, 미국산 LNG 선박 의무화는 새로운 과제를 안겨줍니다. LNG 운반선은 K-조선의 핵심 고부가가치 선박이기 때문이죠.
이러한 정책 변화에 따라 국내 조선사들은 장기적으로 미국 현지에 조선소를 건설하거나 투자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낙후된 조선업 인프라와 막대한 투자 비용은 큰 부담입니다. 현재 한화오션이 필라델피아 조선소를 인수한 상태지만, 다른 주요 조선사들은 아직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행히 국내 조선 3사(한화오션, 삼성중공업, HD현대중공업)는 2027년까지 LNG 운반선 수주 슬롯이 이미 가득 찬 상태입니다. 아직 정책 시행까지 시간이 남아있는 만큼, 국내 조선사들은 당분간 미국 측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며 신중하게 대응 전략을 모색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번 조치가 앞으로 K-조선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