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발언 주목! 반도체·전자제품 관세 면제는 없다? 공급망 재편 예고
최근 국제 무역 정세에 다시 한번 긴장감이 감돌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및 전자제품 관세에 대한 입장을 명확히 하면서 관련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그의 발언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현지시간 13일,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 미디어 '트루스 소셜'을 통해 지난 금요일(11일) 발표되었던 일부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 '면제'는 사실상 없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 제품들은 기존 20% 펜타닐 관세를 적용받으며, 다른 관세 범주로 옮겨지고 있다"고 언급하며 혼란을 바로잡았습니다.
또한, "불공정한 무역 수지와 비화폐 관세 장벽에 대한 책임에서 누구도 면제될 수 없다. 특히 중국은 더욱 그러하다"고 강조하며, 특정 국가를 겨냥한 강경한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핵심은 공급망 재편 가능성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중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바로 반도체와 전체 전자 제품의 공급망에 대한 조사 계획입니다. 그는 "다가오는 국가 안보 관세 조사에서 반도체와 전체 전자 제품의 공급망을 살펴볼 것"이라며, "다른 나라들, 특히 미국 국민을 하대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할 중국과 같은 적대적인 무역 국가들의 인질로 잡혀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는 단순히 관세 부과를 넘어, 미국의 국가 안보와 경제적 자립을 위해 핵심 산업의 공급망 구조 자체를 재검토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됩니다. 앞서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이 스마트폰, 메모리 칩 등 일부 품목에 대해 상호관세 및 기본관세를 면제한다고 발표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것이 일시적인 조치일 뿐이며 결국 관세 부과 대상이 될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역시 이러한 입장을 뒷받침했습니다. 그는 면제 발표된 품목들에 대해 "한두 달 내로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며, "반도체, 칩, 평판 디스플레이 등은 모두 미국에서 생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러트닉 장관은 이것이 협상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닌, 국가 안보에 직결된 사안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앞으로의 전망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향후 글로벌 무역 환경, 특히 첨단 기술 산업에 상당한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보입니다. 반도체 및 전자제품 관련 기업들은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와 공급망 조사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며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할 시점입니다. 앞으로 발표될 구체적인 조사 내용과 관세 정책 방향에 따라 글로벌 공급망의 대대적인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