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전자제품 관세 예외는 없다!'…반도체 포함 공급망 조사 전격 예고
최근 국제 무역계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미국의 대중국 관세 정책에 또 한 번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스마트폰, 노트북 등 주요 전자기기에 대한 관세 예외 조치를 부인하며, 오히려 반도체를 포함한 전체 공급망에 대한 조사를 예고해 파장이 예상됩니다.

지난 11일,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은 반도체와 스마트폰, 노트북 등 전자기기를 상호 관세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하며 잠시 안도감을 주었는데요. 하지만 불과 이틀 만인 13일,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관세 '예외'가 발표된 건 없다"고 명확히 선을 그었습니다.
그는 "어떤 나라도 불공정한 무역수지에 대해 '면죄부'를 받지 못했다"며, 특히 중국을 겨냥해 강경한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그러면서 해당 품목들에 기존의 20% 펜타닐 관세가 적용될 것이며, 이는 단순히 다른 관세 '버킷(bucket)'으로 이동하는 것일 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즉, 상호 관세에서는 제외될지 몰라도 다른 형태의 관세가 부과될 것임을 시사한 것입니다.
더 나아가 트럼프 대통령은 "다가오는 국가 안보 관세 조사에서 반도체와 전체 전자 공급망을 살펴볼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 이는 중국산 전자기기에 대한 기존 20% 관세 부과와 더불어, 향후 반도체와 함께 '국가 안보' 명목으로 추가적인 품목 관세가 부과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행정부 고위 관계자들도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힘을 실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ABC뉴스 인터뷰에서 전자기기 관세 예외는 일시적이며, 1~2달 내 반도체 관세와 함께 부과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 역시 CBS 인터뷰에서 "다른 잠재적 관세 버킷으로 이동하는 것"이라며, 무역 적자를 메우기 위한 '상호 관세'와 공급망에 부과하는 '국가 안보 관세'라는 두 가지 접근 방식이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으로 인해 글로벌 전자제품 및 반도체 시장의 불확실성이 다시 한번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 수출국들은 미국의 향후 관세 정책 방향과 공급망 조사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변화하는 국제 정세 속에서 현명한 대응 전략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