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선택, 개인 자산 보호 위한 관세 유예? 금융 자산 60% 채권 보유 논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정책 결정 뒤에 숨겨진 개인적 이해관계는 없는 걸까요? 최근 그의 금융 자산 구성이 공개되면서, 특정 정책 결정이 개인의 재산 보호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논란의 중심에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돌연 발표했던 '상호관세 90일 유예' 조치가 있습니다. 당시 그는 유예 이유로 미국 국채 시장의 불안정성을 언급하며 "사람들이 좀 불안해하더라"고 말했습니다. 전 세계 주식 시장을 긴장시켰던 관세 전쟁 선포 이후 나온 갑작스러운 유예 발표였죠.
그런데 뉴욕타임스(NYT)가 분석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산 내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그의 금융 자산 중 상당 부분이 채권에 투자되어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투자액은 최소 1억 2천 500만 달러에서 최대 4억 4천 300만 달러 범위로 추정됩니다.
NYT는 가장 적은 금액을 기준으로 하더라도, 이는 트럼프 전 대통령 금융 자산의 약 60%에 해당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반면, 주식 투자 비율은 10% 미만에 불과했습니다. 보수적으로 추산해도 채권 보유액이 주식의 두 배 이상인 셈입니다.
공교롭게도 트럼프 전 대통령은 관세 유예 발표 이후 채권 가격이 다시 안정세를 보이자 안도하는 듯한 발언을 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채권 시장이 잘 돌아가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잠시 불안한 순간이 있었지만 빠르게 해결했다"고 자평했죠.
이러한 상황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개인적 이익과 정치적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음을 시사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대통령이 자신의 자산을 백지 신탁하지 않으면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이해충돌 문제인 것입니다.
더불어, 공화당 소속의 한 친트럼프 성향 하원의원이 관세 유예 발표 전날 최대 수십만 달러 규모의 주식을 매입한 사실이 드러나 내부자 거래 의혹까지 불거진 상태입니다. 현재 뉴욕 검찰은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 등의 내부자 거래 가능성에 대해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백악관 측은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지 않았다고 반박했지만, 그의 금융 자산 구성과 정책 결정 시점 사이의 미묘한 연결고리는 계속해서 논란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관련 뉴스를 주목하는 이들에게 이번 사안은 그의 리더십과 정책 투명성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