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폭탄의 숨겨진 이면: 서비스 무역 포함 시 한국 관세율 변화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전 세계 대상 상호관세 부과 조치가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에 25%라는 높은 관세율이 책정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데요, 여기에는 알려지지 않은 중요한 사실이 숨어 있습니다. 바로 미국이 흑자를 보고 있는 '서비스 무역' 수치가 관세 계산에서 제외되었다는 점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품 교역에서의 미국 적자만을 부각하며 관세율을 산정했습니다. 지난해 미국의 대한국 상품 무역 적자는 662억 달러에 달했고, 이를 기준으로 한국에 25%의 상호관세가 부과되었습니다. 하지만 같은 기간, 미국은 한국과의 서비스 교역에서 107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여행, 운송, 통신, 금융, 지식재산권(영화, 음악 등)을 포함하는 이 서비스 무역 흑자를 반영하여 다시 계산하면, 한국에 대한 실제 관세율은 19%로 낮아진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이는 비단 한국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유럽연합(EU) 역시 서비스 무역 흑자를 포함하면 관세율이 20%에서 10%로 절반이나 줄어들며, 일본(24%→17%), 대만(32%→28%), 베트남(46%→44%) 등 다른 주요 교역국들도 마찬가지로 관세율이 하락합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주요 외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막대한 서비스 수출 이익을 의도적으로 무시했다"고 지적합니다. 실제로 지난해 미국의 전체 상품 무역 적자는 1조 2100억 달러였지만, 서비스 무역에서는 2950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2000년 770억 달러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로, 미국 경제에서 서비스 산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일단 중국 외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하고 기본 세율 10%만 반영하기로 했지만, 서비스 수지가 제외되면서 한국은 협상 시작점부터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향후 협상 범위는 10%에서 25% 사이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상품 중심 관세 정책은 오히려 미국의 서비스 기업들에게 부메랑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각국이 미국의 서비스 수출에 대해 보복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EU는 이미 미국 빅테크 기업 규제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으며, 중국은 미국 여행 자제 경보 발령 및 할리우드 영화 수입 축소 등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번 트럼프발 상호관세 조치는 단순히 상품 관세율 문제를 넘어, 글로벌 무역 환경과 각국 경제, 특히 서비스 산업에 미칠 영향까지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사안입니다. 앞으로의 협상 과정과 각국의 대응 전략에 따라 국내 경제에도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관련 동향을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